반응형
.
L7 스위치는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장비입니다.
트래픽을 단순히 IP나 포트로 나누는 수준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의 내용(Content)을 분석해서 더 정교한 트래픽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죠.
이 글에서는 L7 스위치의 개념, 동작 방식, 사용 사례 등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 L7 스위치란?
L7 스위치는 OSI 7계층 중 7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동작하는 스위치입니다.
🔍 쉽게 말하면?
웹 요청의 내용까지 이해해서 똑똑하게 분산해주는 스위치입니다.
🧱 OSI 7계층에서의 위치
계층설명관련 장비
L3 | 네트워크 (IP 기반) | 라우터 |
L4 | 전송 계층 (포트 기반) | L4 스위치 |
L7 |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 HTTPS 등) | L7 스위치 (ADC) |
⚙️ L4 vs L7 스위치 차이
항목L4 스위치L7 스위치
분석 수준 | IP + 포트 | URL, 쿠키, 세션, 헤더 등 |
라우팅 기준 | TCP/UDP 포트 | HTTP Path, Host, Method 등 |
예시 | 192.168.1.1:80 → 서버 A | example.com/login → 서버 B |
기능 | 단순 로드 밸런싱 | 콘텐츠 기반 분기, 인증 연동, 보안 제어 |
🛠️ L7 스위치의 주요 기능
- URL 기반 라우팅
- /api 요청은 API 서버로, /img 요청은 이미지 서버로 분기
- 쿠키 기반 세션 유지 (Sticky Session)
- 특정 사용자는 항상 동일한 서버에 연결되도록 처리
- SSL 종료(TLS Offloading)
- 암호화 트래픽을 미리 복호화하여 서버 부담 줄이기
- WAF 연동
- 웹 방화벽과 결합하여 보안 강화
- 헬스체크(Health Check)
- 서버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라우팅 조절
🌍 대표적인 L7 스위치/ADC 솔루션
제품명설명
F5 BIG-IP | 기업용 고성능 ADC, L7 기능 완비 |
Citrix ADC (NetScaler) | 대규모 트래픽 제어 |
NGINX / NGINX Plus | 소프트웨어 기반 L7 스위치 |
HAProxy | 오픈소스 L7 로드 밸런서 |
AWS ALB (Application Load Balancer) | 클라우드 기반 L7 서비스 |
📈 어디에 쓰이나요?
-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싱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게이트웨이
- API 트래픽 라우팅
- 웹 보안 강화
- 클라우드 트래픽 제어 (예: AWS ALB, Azure Application Gateway)
✅ 마무리 요약
L7 스위치(Application Layer Switch)는 HTTP/HTTPS 등 웹 요청의 내용을 분석하여, 더 정밀한 트래픽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고급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특징설명
동작 계층 | OSI 7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주요 기능 | URL 기반 분기, 세션 유지, SSL 종료 |
활용 분야 | 웹 서버 로드 밸런싱, API 라우팅, 보안 제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