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 104

TLS, mTLS 방식이 뭐야?

🔒 TLS (Transport Layer Security)"서버 인증 + 데이터 암호화"무엇을 보호하나?사용자의 데이터가 네트워크 중간에서 도청되거나 변조되지 않도록 암호화해 줘요.어떻게 동작하나?클라이언트(브라우저 등)가 서버에 접속 요청서버가 자신의 인증서(SSL/TLS)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이후 통신은 암호화된 채널로 안전하게 진행사용 예시:HTTPS 웹사이트 접속 (ex. https://google.com)이메일 송수신 (SMTP, IMAP with TLS)일반 API 통신 등🔐 mTLS (Mutual TLS, 상호 TLS)"서버 인증 + 클라이언트 인증 + 데이터 암호화"TLS보다 강화된 보안 방식이에요.여기서는 서버뿐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인증..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 AWS OpenSearch란?

AWS OpenSearch Service는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해 검색, 분석, 시각화까지 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쉽게 말해:로그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텍스트나 숫자 기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대시보드로 시각화까지 할 수 있어요.🧩 구성요소구성 요소설명OpenSearch 엔진Elasticsearch의 오픈소스 포크 (Amazon이 유지보수)Kibana → OpenSearch Dashboards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대시보드 도구클러스터 구성분산형 데이터 저장 및 검색 구조Index (인덱스)데이터 저장소 단위, 테이블처럼 사용됨📦 언제 쓰나?사용 목적예시로그 분석CloudWatch, 앱 로그, 시스템 로그검색 기능쇼핑몰 검색창, 문서 검색, 제품 검색모니터링서버 상태, 트래픽, 에러율 등 실시간..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VMware Workstation 17 Player에서 macOS 14 해상도 높이는 방법

macOS 14 Sonoma을 VMware Workstation 17 Player에 설치했는데,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낮아서 불편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VMware에서 macOS 가상 머신의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립니다. 특히 Darwin.iso와 Unlocker를 활용한 설정을 통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1920x1080 이상)로 바꾸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VMware에서 macOS 해상도가 낮게 나오는 이유기본적으로 VMware는 Windows나 Linux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macOS용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macOS에서 해상도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화면이 작고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려면 macOS 전용 VMware To..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Retrofit은 Android 개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HTTP 통신 라이브러리

Retrofit은 Android 개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HTTP 통신 라이브러리 중 하나야.특히 REST API와 통신할 때 아주 깔끔하고 선언적으로 쓸 수 있게 도와줘.✅ Retrofit 한줄 설명Retrofit은 REST API와의 통신을 간단하게 해주는 Android용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야.🔧 어떤 기능을 해줘?기능설명✅ API 요청 쉽게 정의인터페이스만 만들면 자동으로 요청 생성됨✅ JSON 자동 파싱GSON, Moshi 등과 연동해서 자동으로 객체 매핑✅ 비동기 요청 지원Call.enqueue()로 네트워크 스레드 자동 처리✅ 에러 핸들링 편리응답 코드/본문 기반 처리 가능✅ 다양한 변환기 지원XML, ProtoBuf 등도 연동 가능✅ 인증/Interceptor 확장 쉬움OAut..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 Karpenter란?

Karpenter는 AWS가 만든 오픈소스 Kubernetes 자동 노드 스케일러야.EKS(EKS 전용이지만, 다른 Kubernetes에도 사용 가능)에 최적화된 워커 노드 자동 생성 도구야.🚀 핵심 개념Pod가 실행될 리소스가 부족할 때 → 자동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Pod가 더 이상 필요 없으면 → EC2를 자동 종료EC2 인스턴스 타입, 가용영역, Spot/On-demand 여부 등을 자동 선택예전의 Cluster Autoscaler보다 빠르고 똑똑하게 노드를 다룸🧠 왜 Karpenter를 쓰는가?기존 방식Karpenter수동으로 EC2 관리필요할 때 자동 생성/제거고정된 인스턴스 타입만 사용다양한 타입 자동 선택느린 스케일링 속도수 초 내 생성남는 EC2 비용 발생유휴 노드 자동 제거로 비용..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cache.m4.large는 ElastiCache의 레거시 인스턴스 타입

cache.m4.large는 ElastiCache의 레거시 인스턴스 타입이고, 더 이상 새로운 기능이나 성능 최적화를 기대하기 어려워.m4 시리즈는 점점 사용을 줄이고, m6g나 m7g 시리즈로 이전하는 게 권장돼.✅ 1. 어떤 타입으로 바꾸면 좋을까?🔄 대체 인스턴스 타입 추천기존 타입vCPURAM후속 추천 타입vCPURAM특징cache.m4.large26.42 GBcache.m6g.large26.38 GB최신 Graviton2 기반, 비용 효율 ↑, 성능 ↑   cache.m7g.large26.15 GB최신 Graviton3 기반, 성능/비용 더 향상추천: cache.m6g.large → 거의 동일한 성능 메트릭, 훨씬 저렴하고 성능은 더 좋아예산 여유 있고 최신 기술 사용 원하면: cache.m7..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개념 정리: No Upfront

"AWS No Upfront"은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예약 인스턴스(Reserved Instances)나 Savings Plans를 구매할 때 나오는 결제 옵션 중 하나야.🔍 개념 정리: No Upfront"No Upfront"는 말 그대로 선불 비용이 없는 결제 방식이야.🧾 AWS 예약 인스턴스(RI) 결제 옵션 3가지All Upfront (AU)전체 금액을 한 번에 선불로 지불할인율이 가장 높음Partial Upfront (PU)일부 금액을 선불로 내고, 나머지는 월별로 지불No Upfront (NU)선불 없이, 매달 정해진 금액만 결제가장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음할인율은 AU, PU보다 낮지만 여전히 온디맨드(On-Demand)보다 저렴함💡 예시예를 들어, EC2 ..

카테고리 없음 2025.03.25

Windows의 기본 메모장(Notepad)은 저장할 수 있는 "라인 수"

Windows의 기본 메모장(Notepad)은 저장할 수 있는 "라인 수"에는 명확한 제한이 없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간접적인 제한 사항이 존재해요:✅ 1. 저장할 수 있는 최대 파일 크기 제한Windows 10 이하의 Notepad👉 약 2GB 미만의 텍스트 파일까지만 열고 저장할 수 있어요. (텍스트 인코딩에 따라 다름)Windows 11의 Notepad (2023년 업데이트 이후)👉 파일 크기 제한이 사실상 없어졌습니다.최신 메모장은 수백 MB~수 GB 크기의 파일도 열 수 있도록 개선되었어요.(예: 800만 줄 이상도 가능)✅ 2. 줄(Line) 수 관련메모장은 줄 수에 직접 제한을 두지 않음대신 파일 크기, 메모리 사용량, 열린 파일의 구조에 따라 성능에 영향이 생김예를 들어,100만 ..

카테고리 없음 2025.03.24

📘 링고라(Lingora)란?

링고라(Lingora)는튜터링 앱에서 제공하는 AI 영어 스피킹 연습 기능이에요.사용자가 음성으로 영어 문장을 말하면, AI가 발음과 문법을 분석해서 피드백을 줘요.🧠 어떤 기능을 제공하나요?기능설명🎙️ 음성 입력사용자가 직접 문장을 말함✅ 발음 피드백AI가 발음 정확도 분석📝 문법 교정잘못된 문장 표현을 수정해 줌📊 점수 평가회화 점수/발음 점수 등을 수치화🔁 반복 학습같은 문장을 반복해서 연습 가능📱 어디서 쓸 수 있어?튜터링 앱 안에서 사용 가능주로 스마트폰 앱에서 회화 훈련 기능으로 제공됨"사람이랑 직접 말하지 않아도, AI가 바로바로 피드백 주는 영어 회화 도우미"🙋 이런 분에게 좋아요영어 말하기 실력이 부족한 사람실제 외국인과 대화하기 전에 연습하고 싶은 사람틀려도 부끄럽지 않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3.24

🛡️ TLS란?

✅ 이름:TLS (Transport Layer Security)– "전송 계층 보안"이라는 뜻이에요.✅ 목적:인터넷 통신을 암호화해서 도청, 위조, 변조를 막는 것이 목적이에요.🔐 왜 TLS가 필요할까?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그냥 보내면 누군가 중간에서 엿볼 수 있어요예를 들어:로그인을 할 때 ID/PW가 그냥 평문으로 보내지면 위험하죠결제 정보, 개인정보 등도 마찬가지👉 그래서 암호화된 안전한 통신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TLS가 해요.📦 TLS가 해주는 일기능설명🔒 암호화 (Encryption)데이터를 암호화해서 도청 방지📜 인증 (Authentication)상대가 진짜인지 확인 (예: 인증서)🧾 무결성 (Integrity)데이터가 중간에 바뀌지 않았는지 검증🌐 HTTPS = ..

카테고리 없음 2025.0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