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WEB 서버와 WAS의 차이점 한눈에 보기

idea9329 2025. 3. 31. 13:57
반응형

 

항목WEB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 정의 정적인 콘텐츠(HTML, 이미지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서버 동적인 로직(비즈니스 로직, DB 연동 등)을 처리하는 서버
⚙️ 주요 역할 정적 파일 처리, 요청 라우팅, 리버스 프록시 역할 동적 페이지 생성, 비즈니스 로직 처리, DB 연동
🧠 예시 기능 HTML/CSS/JS 파일 서빙, 로드 밸런싱 로그인/회원가입, 게시글 CRUD, 결제 처리
💻 대표 제품 Apache HTTP Server, Nginx, IIS Tomcat, JBoss, WebLogic, Jetty
📦 처리 언어 HTML, JS, 이미지 등 Java (Servlet, JSP), Python, PHP 등
📤 요청 전달 클라이언트 요청 → 정적 파일 응답 or WAS로 전달 요청 받아서 내부 로직 처리 → 동적 응답 생성

✅ 웹 서버란?

WEB Server는 사용자의 HTTP 요청을 받아서
👉 정적인 파일(html, css, js, 이미지 등)을 그대로 응답하거나
👉 동적 요청은 WAS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index.html 요청 → 웹 서버가 그대로 전달
  • /login 요청 → 웹 서버는 WAS로 전달

✅ WAS란?

WAS(Web Application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제 동작하는 서버입니다.
웹 서버가 요청을 넘겨주면, 이 서버가 로직을 처리하고, DB와 통신하고, 결과를 동적으로 만들어서 응답합니다.

💡 예)

  • 로그인 처리, 세션 관리, DB 조회, 게시글 작성 등

🧱 웹 서버 + WAS 통합 구조 예시

[사용자 브라우저]
        │
        ▼
    [WEB 서버] ← 정적 파일 응답
        │
        ▼
    [WAS 서버] ← 동적 처리 후 결과 HTML 생성
        │
        ▼
      [DB 서버] ← 필요 시 연동

예시:

Apache (Web Server) + Tomcat (WAS)
Nginx (Web Server) + Spring Boot (WAS)

🔧 둘을 분리하는 이유

이유설명

✅ 성능 최적화 정적 리소스는 웹 서버가 빠르게 처리
✅ 보안 WAS를 외부로부터 분리, 공격 면적 축소
✅ 확장성 웹 서버 여러 개 → WAS 부하 분산
✅ 관리 편의 웹/앱 로직 분리로 유지보수 효율 ↑

📝 결론 요약

항목설명

웹 서버 정적인 리소스 처리, 요청 분배, 라우팅 담당
WAS 동적인 애플리케이션 로직 처리, DB 연동 등 수행
관계 웹 서버가 요청을 받아, 필요한 경우 WAS에 전달

🔗 더 알아보면 좋은 내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