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CSAP란?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 완전 정리 (AWS도 취득한 국내 인증)

idea9329 2025. 4. 2. 10:32
반응형

 

2025년 4월 2일, AWS가 국내 클라우드 보안 인증 중 하나인 CSAP을 취득했다는 뉴스가 발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CSAP란 도대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AWS가 왜 이걸 취득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 CSAP란 무엇인가요?

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의 약자입니다.
한국어로는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라고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국가 공인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입니다.

📌 쉽게 말해:
공공기관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임을 국가가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 왜 중요한가요?

📌 공공기관 납품을 위한 필수 조건

CSAP 인증을 받아야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 기업 등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인증이 없으면 공공 부문에 클라우드 납품이 불가능합니다.


🛡️ CSAP 인증의 종류

인증 유형설명

IaaS 인프라형 서비스 (예: AWS EC2, S3 등)
PaaS 플랫폼형 서비스 (예: DBaaS, AI 플랫폼 등)
SaaS 소프트웨어형 서비스 (예: 메일, 협업툴 등)

또한 인증 수준에 따라:

  • 기본 보호: 일반적인 보안 수준
  • 고급 보호: 개인정보 처리나 민감 정보 다루는 서비스용

☁️ AWS가 취득한 이유는?

AWS는 그동안 민간 기업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로는 널리 사용됐지만, CSAP가 없어서 공공 부문에는 직접 납품이 어려웠어요.
하지만 2025년 4월, AWS는 드디어 CSAP 고급 보호 등급까지 취득하게 되었고,
이제부터는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공공 연구소 등에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습니다.


📈 그럼 다른 기업들은?

CSAP를 이미 취득한 국내외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인증 등급

Naver Cloud 고급 보호
KT Cloud 고급 보호
NHN Cloud 고급 보호
Microsoft Azure 기본 보호 (일부 서비스만)
AWS  고급 보호 (2025년 4월) ← 신규 취득!

🔒 CSAP 인증을 받기 위한 조건

CSAP 인증을 받기 위해선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물리적 보안 (서버 위치, 출입 통제 등)
  • 논리적 보안 (암호화, 접근 제어 등)
  • 운영 관리 (모니터링, 백업 등)
  • 침해 대응 (사고 대응 체계 등)
  • 법적 준수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

이 모든 기준을 충족해야만 인증을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 요약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은 공공기관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국가 공인 보안 인증입니다.

  •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 인증
  • AWS는 2025년 4월에 고급 보호 등급 취득 완료
  • CSAP 없이는 정부·공공기관 납품 불가

🔗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
댓글수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