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데이터베이스 체인형 vs 스타형 구조: 무엇이 다를까?

idea9329 2025. 6. 10. 15:09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할 때, 어떤 구조를 선택하느냐는 성능과 유지보수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중에서도 많이 비교되는 두 가지 구조가 바로 **체인형(Chain 구조)**과 **스타형(Star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구조의 차이점과 각 구조가 적합한 상황을 정리해드립니다.


체인형 구조란?

체인형 구조는 말 그대로 사슬처럼 이어진 테이블 구조입니다. 테이블 간 관계가 순차적이며, 마치 Linked List처럼 한 방향으로 흐르는 형태를 가집니다.

특징

  • 테이블 간 1:1 또는 1\:N 관계로 연결
  •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시스템에 적합
  • 중간 테이블이 반드시 존재해야 상위 또는 하위 데이터 접근 가능

예시

상품 → 주문 → 배송정보 → 택배사 → 배송기사

장점

  • 데이터 흐름을 따라가며 관리하기 쉬움
  • 프로세스 기반 데이터 처리에 적합

단점

  • 많은 JOIN 필요 → 성능 저하
  • 중간 테이블 삭제/변경 시 전체 구조에 영향

스타형 구조란?

스타형 구조는 하나의 중심 테이블(Fact Table)을 중심으로 여러 테이블이 방사형으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주로 데이터 분석, 통계, BI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특징

  • 중심 테이블이 기준
  • 주변 테이블(Dimension Table)은 중심 테이블에 직접 연결
  • 쿼리 성능이 뛰어나며,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됨

예시

         고객
           \
상품 → [주문내역] ← 결제정보
           /
        배송정보

장점

  • 다차원 분석에 유리
  • 설계가 단순하여 쿼리 최적화 쉬움
  • BI 도구와 궁합이 좋음

단점

  • 정규화가 낮아 중복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음
  • 구조 설계 초기부터 충분한 분석 필요

체인형과 스타형 구조 비교표

항목체인형 구조스타형 구조

구조 형태 선형(사슬처럼 이어짐) 중심-방사형(별 모양)
적합 용도 단계별 흐름 관리, 이력 추적 분석, 통계, BI 시스템
성능 JOIN이 많아 느릴 수 있음 빠름 (분석 쿼리에 최적화)
정규화 수준 높음 (중복 최소화) 낮음 (성능 위해 중복 허용)
유지보수 중간 테이블 변경 시 영향 큼 각 테이블 독립적으로 유지 가능
대표 사례 물류 추적, 생산 이력관리 판매 분석, 리포트 시스템

어떤 구조를 선택해야 할까?

  • 프로세스 흐름을 추적하고 싶다면 ➜ 체인형 구조
  • 매출 분석, 통계, 리포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 스타형 구조

데이터베이스는 목적에 따라 설계 방향이 달라져야 합니다. 처음 설계할 때 이 두 구조의 차이를 이해하고 선택한다면, 성능과 유지보수 면에서 큰 차이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