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fka를 사용하다 보면 "Kafka consume 확인했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이 문장은 단순한 표현 같지만, 실제로는 Kafka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처리하고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Kafka에서 "Consume"이란?
Kafka는 대용량 실시간 메시지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두 가지 핵심 역할이 있습니다:
- Producer(프로듀서): 데이터를 Kafka에 보내는 쪽
- Consumer(컨슈머): Kafka에 쌓인 메시지를 읽는 쪽
여기서 Consume(컨슘) 이란, Kafka에 저장된 메시지를 consumer가 읽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consume 확인했다"는 말은 Kafka 메시지를 실제로 잘 읽고 있는지 확인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무 예시로 이해하기
다음은 실무에서 자주 오가는 대화입니다:
A: "그 로그 Kafka로 보냈어?"
B: "응, consumer에서도 consume 되는 거 확인했어."✅ 이 말의 의미는?
→ 메시지가 Kafka에 도착했고, consumer가 정상적으로 읽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Kafka를 사용하는 서비스에서는 producer와 consumer 간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동작하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Kafka consume 확인하는 방법
Kafka 메시지를 실제로 consume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1. kafka-console-consumer.sh로 확인
kafka-console-consumer.sh \
--bootstrap-server broker:9092 \
--topic my-topic \
--from-beginning
이 명령을 실행하면 my-topic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처음부터 출력합니다.
화면에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consumer가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consume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2. 로그/메트릭 기반 확인
- Application 로그: 메시지 처리 성공 로그가 남는지 확인
- Kafka consumer lag 메트릭: Lag이 줄어드는지 확인 → 메시지를 잘 읽고 있다는 신호
마무리: Kafka Consume 확인은 왜 중요할까?
Kafka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consume이 되지 않으면 아무리 잘 보내도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Kafka consume 확인”은 데이터 흐름이 완성되었는지,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여겨집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키워드
- Kafka consumer group
- kafka-console-consumer.sh 사용법
- Kafka consumer lag 확인
- Kafka 토픽 메시지 수 확인
- Kafka 데이터 흐름 진단 방법
🔍 관련 질문에 대한 빠른 정리
질문의미 요약
Kafka에서 consume 확인이란? | Kafka 메시지를 실제로 읽었는지 확인한 것 |
어떻게 확인하나요? | kafka-console-consumer.sh 또는 로그/메트릭 활용 |
왜 중요하죠? | 메시지가 도착했어도 소비되지 않으면 무의미하기 때문 |
💡 Kafka 사용 시 “consume 확인”은 메시지 수신의 마지막 고리를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