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90

💡 MySQL 튜닝 방법 총정리 — 성능을 확 끌어올리는 실전 가이드

MySQL은 설정값만 잘 손봐도 TPS, 쿼리 응답 속도가 눈에 띄게 개선됩니다. 하지만 무작정 파라미터부터 만지는 건 위험합니다. “병목 → 쿼리/인덱스 → 설정값” 순서로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게 핵심이에요.1️⃣ 병목부터 정확히 파악하자✅ 슬로우 쿼리 로그 켜기SET GLOBAL long_query_time = 0.2;SET GLOBAL log_slow_admin_statements = ON;SET GLOBAL slow_query_log = ON;0.2초 이상 걸리는 쿼리를 모두 수집RDS의 경우 파라미터 그룹에서 설정✅ TOP 느린 쿼리 확인SELECT * FROM sys.statements_with_runtimes_in_95th_percentile ORDER BY avg_timer_wait DES..

카테고리 없음 2025.10.10

🧭 한국투자증권(KIS) API 발급 및 사용 방법 완벽 가이드

한국투자증권(KIS)은 국내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Open API를 제공하는 증권사입니다.모의투자(페이퍼 트레이딩)부터 실거래까지 지원하며, REST / WebSocket API를 통해 자동매매나 시세 조회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합니다.아래에 회원가입부터 앱 등록, API 키 발급, 토큰 발급, 시세 조회까지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1. KIS Developers 회원가입API를 사용하려면 먼저 개발자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KIS Developers 접속우측 상단 회원가입 클릭이메일 인증 → 비밀번호 설정 → 약관 동의 후 계정 생성로그인 완료 후 메인 화면 이동2. 앱 등록으로 API Key 발급회원가입이 끝났다면, 이제 앱을 등록해서 API Key와 Secret을 발급받습니다.로그인 후 ..

카테고리 없음 2025.10.09

📝 미래에셋증권 모의투자 가입 및 이용 방법 정리

주식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실제 돈을 쓰지 않고 시장 흐름을 익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모의투자야. 미래에셋증권은 전용 ID를 만들고 앱을 통해 모의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아래 절차대로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어.1️⃣ 모의투자 ID 등록하기미래에셋 모의투자를 하려면 먼저 모의투자 전용 ID를 만들어야 해.이는 실제 주식계좌와는 별도로 운영되는 테스트용 계정이야.미래에셋증권 모의투자 사이트 접속화면에서 모의투자 ID 등록 메뉴 선택이름, 주민번호(또는 간편 인증), 이메일 등을 입력해 ID 생성모의투자 ID가 발급되면 로그인 가능👉 일반 MTS(주식거래 앱) 계정과는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로 만들어야 해.2️⃣ 모의투자 신청하기 (상시/그룹 선택)ID를 만..

카테고리 없음 2025.10.08

🔹 Azure DPOR 설정이란? (Digital Partner of Record) — 개념부터 설정 방법까지

Azure를 운영하다 보면 “DPOR 설정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DPOR(Digital Partner of Record)는 고객의 Azure 구독에 특정 파트너를 지정해서, 해당 구독의 소비 실적을 그 파트너의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과거에는 파트너 실적 연결의 표준 방식이었고, 현재는 PAL(Partner Admin Link)로 점차 전환되고 있지만, EA(Enterprise Agreement) 환경 등에서는 여전히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요.🧭 DPOR(Digital Partner of Record)란?항목내용이름Digital Partner of Record (DPOR)목적고객 Azure 구독에 파트너를 직접 지정하여 파트너 실적 반영특징고객이 포털에서 직접 지정, 파트너 ID..

카테고리 없음 2025.10.03

🔹 Azure PAL 설정이란? 파트너 실적 인정을 위한 핵심 개념 정리

Azure를 운영하다 보면 “PAL 설정”이라는 말을 종종 듣게 됩니다.PAL(Partner Admin Link)은 파트너가 고객의 Azure 구독을 관리하면서, 해당 구독의 사용량을 파트너 실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Microsoft에 등록하는 절차입니다.클라우드 MSP, CSP, SI 업체 등에서 Azure를 운영할 때 거의 필수로 설정하는 항목이에요.🧭 PAL(Partner Admin Link)의 개념항목내용이름Partner Admin Link (PAL)목적파트너가 관리 중인 고객 구독을 Microsoft 파트너 시스템에 연결효과고객의 Azure 사용량 및 매출이 파트너 실적으로 반영대상Microsoft Partner Network(MPN) ID를 보유한 파트너즉, PAL 설정을 해두면 고객의 구독에..

카테고리 없음 2025.10.03

Redis HyperLogLog란?

Redis의 HyperLogLog(HLL)는 대규모 데이터 집합에서 고유한 원소의 개수(Unique Count, Cardinality) 를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확률적 자료구조입니다.왜 HyperLogLog를 쓰는가?메모리 절약수십억 개의 데이터를 추적해도 약 12KB 메모리만 사용합니다.일반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해 중복 제거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빠른 고유 수 계산PFADD, PFCOUNT 명령으로 즉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데이터 스트림(로그 수집, 방문자 수 집계 등)에서 유용합니다.오차 범위완벽한 정확도 대신 약 0.81%의 오차율을 허용합니다.정확도보다 속도와 메모리 절약이 중요한 경우 적합합니다.동작 원리 (Logs의 의미)HyperLogLog에서 "logs"라는 말은 로그..

카테고리 없음 2025.10.02

블루-그린 배포(Blue-Green Deployment)란?

블루-그린 배포는 서비스 중단 없이 새로운 버전을 배포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운영 환경을 두 개(Blue와 Green)로 나누어, 트래픽 전환만으로 빠르게 새 버전을 적용하거나 롤백할 수 있는 것이 핵심입니다.블루-그린 배포 개념Blue 환경: 현재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 버전Green 환경: 새 버전이 배포된 대기 환경배포 후 로드밸런서 같은 트래픽 분배 장치를 이용해 Blue → Green으로 전환합니다.동작 방식기존 Blue 환경에서 서비스가 정상 운영됨Green 환경에 새 버전을 배포하고 테스트 진행Green 환경이 안정적이라 판단되면 트래픽을 Green으로 전환문제가 생기면 다시 Blue로 트래픽을 돌려 빠르게 롤백 가능장점무중단 배포: 배포 중에도 사용자 서비스 중단 없음빠른 롤백: 문제가 ..

카테고리 없음 2025.10.02

서비스 오픈 전 성능 검증 방법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제 오픈하기 전에 성능 검증(Performance Validation) 은 필수 과정입니다. 단순히 기능이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 트래픽 부하를 견디고 SLA를 충족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야 합니다.1. 성능 목표 정의응답 시간(Response Time): 95% 이상 요청이 200ms 이하처리량(Throughput/TPS): 초당 처리 가능한 요청 수동시 사용자 수(Concurrent Users): 동시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러율(Error Rate): 1% 이하 유지2. 테스트 환경 준비운영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성 (서버 스펙, 네트워크, 데이터 크기 동일)DB, 캐시, 메시지 큐, 외부 API까지 포함된 통합 환경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오토스케일링 정책..

카테고리 없음 2025.10.02

EKS 노드 그룹 YAML 생성 방법

Amazon EKS에서 노드 그룹을 생성할 때 eksctl YAML 파일을 이용하면 재사용과 버전 관리가 쉽습니다. 운영 환경에서도 IaC(Infra as Code)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1. YAML 파일 예시cluster-nodegroup.yamlapiVersion: eksctl.io/v1alpha5kind: ClusterConfigmetadata: name: my-cluster # 클러스터 이름 region: ap-northeast-2 # 리전 (서울)nodeGroups: - name: ng-app # 노드 그룹 이름 instanceType: t3.medium # 인스턴스 타입 ..

카테고리 없음 2025.10.01

EKS 노드 그룹 생성 방법 정리

Amazon EKS에서 노드 그룹(NodeGroup)은 워커 노드 집합으로, 실제 애플리케이션 파드(Pod)가 실행되는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노드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1.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생성클러스터 선택 후 Compute → Add Node Group 클릭노드 그룹 이름 입력IAM Role 선택 (AmazonEKSNodeRole 등 필수 권한 포함)사용할 서브넷 지정 (보통 프라이빗 서브넷)인스턴스 타입, AMI, 디스크 크기 선택최소/최대/원하는 노드 개수 설정 후 생성2. AWS CLI로 생성aws eks create-nodegroup \ --cluster-name my-cluster \ --nodegr..

카테고리 없음 2025.10.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