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 104

🔥 AWS Pre-Warming이란?

Pre-warming은 시스템이 급격한 트래픽 급증(Burst Traffic)을 감당할 수 있도록 사전 리소스를 준비해두는 설정 또는 요청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미리 예열해서 트래픽 받을 준비를 해주세요”라는 의미예요.✅ 왜 필요한가?AWS 서비스들은 기본적으로 자동 확장(Auto Scaling) 또는 온디맨드로 동작하지만…⚠️ 갑작스러운 대량 트래픽⚠️ 대규모 마케팅/오픈 이벤트⚠️ 수초 내 수십만 요청 폭주이런 경우엔 AWS도 리소스를 준비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사전에 "pre-warming 요청"을 하면 AWS에서 미리 자원을 준비해 줍니다.🔧 서비스별 Pre-warming 적용 예시1. Elastic Load Balancer (ELB)ALB/NLB는 자동 확장이..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Stable IP

🧩 1. Public Static IP (탄력적 IP, Elastic IP) – 가장 일반적인 의미"Stable IP" = 변하지 않는 고정된 Public IP 주소를 말함EC2나 Load Balancer 등에 붙여서 IP가 바뀌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어요.✅ 탄력적 IP (Elastic IP)의 특징항목설명고정 IP인스턴스를 재시작해도 IP가 바뀌지 않음공용 IPv4 주소인터넷에서 접근 가능무료 조건연결만 되어 있으면 무료 (미연결 상태면 요금 발생)EC2에 연결EC2 → 탄력적 IP 할당 후 연결ALB/NLB는 IP가 변동됨단, NLB는 Static IP 지원 가능📌 예시: EC2에 Stable IP 할당하는 과정AWS 콘솔 → EC2 → 탄력적 IP 메뉴로 이동탄력적 IP 할당 클릭생성된 IP를..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 Maven + MySQL Connector/J 빌드 & 배포 가이드

✅ 1. mysql-connector-j란?MySQL을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JDBC 드라이버입니다.Java에서 Connection, PreparedStatement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공식 Maven artifact 이름: mysql:mysql-connector-java📦 2. Maven 프로젝트에 의존성 추가pom.xml에 아래처럼 작성합니다: mysql mysql-connector-java 8.3.0 👉 최신 버전은 Maven Central에서 확인 가능🛠 3. 빌드Maven으로 빌드 실행:mvn clean package이 명령어로 .jar 또는 .war 파일이 생성되며,해당 아티팩트에 mysql-connector-java가 포함되거나..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 WEB 서버와 WAS의 차이점 한눈에 보기

항목WEB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정의정적인 콘텐츠(HTML, 이미지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서버동적인 로직(비즈니스 로직, DB 연동 등)을 처리하는 서버⚙️ 주요 역할정적 파일 처리, 요청 라우팅, 리버스 프록시 역할동적 페이지 생성, 비즈니스 로직 처리, DB 연동🧠 예시 기능HTML/CSS/JS 파일 서빙, 로드 밸런싱로그인/회원가입, 게시글 CRUD, 결제 처리💻 대표 제품Apache HTTP Server, Nginx, IISTomcat, JBoss, WebLogic, Jetty📦 처리 언어HTML, JS, 이미지 등Java (Servlet, JSP), Python, PHP 등📤 요청 전달클라이언트 요청 → 정적 파일 응답 or WAS로 전달요청 받..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란? 마이크로서비스 장애 방지 핵심 패턴

현대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수많은 서비스가 서로 호출하며 동작합니다.하지만 그중 하나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이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핵심 안정성 패턴이 바로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입니다.이 글에서는 서킷 브레이커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Spring Boot,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서킷 브레이커란?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시스템에서 특정 기능이나 외부 API 호출이 지속적으로 실패할 경우,일시적으로 호출을 차단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쉽게 말해, 문제 있는 시스템과의 연결을 끊어서 장애 확산을 막는 안전장치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 cache.m5.large 스펙 요약

항목값vCPU2 vCPU메모리6.38 GiB네트워크 성능최대 10Gbps (ENI를 통한 고속 네트워크)스토리지Ephemeral (디스크 없음, RAM 기반)엔진 지원Redis / Memcached 둘 다 가능요금 (서울 리전 기준)약 $0.075/시간 (2024년 기준, 온디맨드)⚙️ 성능 특징✅ 장점적당한 성능: 소규모 ~ 중간 규모 서비스에 충분저렴한 비용: 성능 대비 가성비가 좋음M5 시리즈: 최신 세대의 인텔 Xeon Platinum 기반 (고성능 CPU)탄력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병목 적고 안정적❗ 한계점CPU 코어 수가 2개라서 대규모 동시 접속에는 제한이 있음메모리 6.38GiB는 캐시 저장 공간이 큰 서비스에는 부족할 수 있음트래픽이 많은 실시간 분석, 고속 게임 세션 관리에는 상위 인스..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 BigQuery란?

BigQuery는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SQL 기반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비스입니다.완전관리형 서버리스: 인프라나 클러스터 관리 없이 쿼리 실행만 하면 됨초고속 분석: 페타바이트(PB)급 데이터를 수초 내에 처리실시간 분석도 가능: 실시간 스트리밍 삽입도 지원ML/AI 통합 가능: BigQuery ML로 머신러닝 모델도 학습/예측 가능✅ BigQuery의 주요 특징특징설명서버리스클러스터 설정 필요 없음. 사용자는 쿼리에만 집중표준 SQL 지원일반적인 SQL로 데이터 분석 가능저장과 분석 분리스토리지와 컴퓨팅 비용이 분리되어 효율적자동 스케일링수천 개의 서버가 쿼리 처리에 자동 분산됨스트리밍 데이터 삽입Kafka 또는 Pub/Sub와 연동 가능보안 및 권한 제어IAM, VPC Service Contr..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에이전트 생태계의 판을 바꾸는 MCP,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

최근 생성형 AI와 함께 에이전트(Agent)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챗봇을 넘어서,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소프트웨어가 등장하고 있는 것이죠.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에이전트가 얼마나 똑똑하냐가 아니라, 얼마나 강력한 도구들과 연결되어 있느냐입니다. 사람도 아무리 똑똑해도 도구가 없으면 일을 못하듯, 에이전트도 마찬가지예요.그렇다면 에이전트는 어떻게 도구(API, SaaS 등)를 활용할 수 있을까요?복잡한 연결을 해결하는 표준, MCP바로 여기서 등장한 것이 MCP(Model Context Protocol)입니다.MCP는 쉽게 말해, 에이전트가 도구(API)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통역사이자 연결자입니다.기존에는 API마다 인증 방식, 포맷, ..

카테고리 없음 2025.03.30

🌐 Ingress-NGINX란?

✅ 정의Ingress는 Kubernetes 리소스로, 외부에서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URL 라우팅 규칙을 정의함Ingress Controller는 Ingress 리소스를 실제로 실행해주는 컴포넌트ingress-nginx는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NGINX 기반의 오픈소스 Ingress Controller🧩 아키텍처[사용자 브라우저] ↓ [Ingress-NGINX Controller] ← 외부 LoadBalancer 또는 NodePort로 연결 ↓ [Kubernetes Ingress Rule] ↓ [서비스 (Service)] ↓ [파드 (Pod)]📦 ingress-nginx의 주요 기능기능설명URL 기반 라우팅/api → A 서비..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 AWS EKS에서 워커 노드 삭제 시 PV(Persistent Volume)는 삭제될까?

Amazon EKS(AWS Kubernetes Service)를 운영하다 보면, 워크 노드 그룹(Managed Node Group)을 0으로 설정해 모든 노드를 삭제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이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EKS에서 노드를 삭제하면 Persistent Volume(PV)도 함께 삭제되나요?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스토리지 유형과 Reclaim Policy 설정값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에서 상황별로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결론 요약스토리지 타입ReclaimPolicyPVC 삭제PV 삭제EBS 삭제EBS (AWS 블록 스토리지)Retain (보존)O❌ 아니오❌ 아니오EBS (AWS 블록 스토리지)Delete (삭제)O✅ 예✅ 예EBSDelete❌ PVC 살아있음❌ ..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