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03 7

✅ Runbook이란? IT 운영자와 DevOps를 위한 필수 매뉴얼

운영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서버가 멈추거나 긴급 상황에서 “어떻게 처리해야 하지?” 고민한 적 있을 것입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Runbook(런북) 입니다.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Runbook이 정확히 뭔가요?" 라고 묻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Runbook의 정의부터 실제 활용 방법, 작성 팁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Runbook(런북)이란?Runbook은 IT 시스템 운영, DevOps,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정해진 작업이나 장애 상황에 대한 대응 절차를 단계별로 정리한 문서입니다.쉽게 말해, 문제가 생겼을 때 누가 봐도 그대로 따라 할 수 있는 매뉴얼이죠.🛠️ Runbook이 중요한 이유이유설명✅ 빠른 장애 대응누구나 문서를 보고 즉시 조치 가능✅ 업무 연속성 보장담당자가 없어..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서버 메모리 사용률 체크 후, 저사용 서버 식별 & 정리 방법 (자동화 전략)

운영 중인 서버가 많아지면, 일부는 과도하게 사용되고 일부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황이 생깁니다.이럴 때 일주일 정도 메모리 사용률을 체크해서 저사용 서버를 삭제하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이 글에서는 자동 수집 → 시각화 → 판단 → 삭제 후보 선정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정리합니다.✅ 1. 목표 정리대상: AWS, Azure, GCP 또는 IDC 내의 리눅스 기반 서버수집 항목: 메모리 사용률 (총 메모리 대비 사용량 %)수집 주기: 5분 또는 1시간 간격수집 기간: 7일최종 목표: 평균 사용률이 낮은 서버를 자동 식별하고 삭제🧰 추천 솔루션 조합목적도구메모리 수집Node Exporter, collectd, 또는 vmstat데이터 저장Prometheus, InfluxDB, 또는 CSV시각화Graf..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AWS ARN이란? 리소스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이름의 정체

AWS에서 IAM 정책을 작성하거나 Lambda, S3, SNS 등 리소스를 참조할 때,항상 등장하는 ARN — 도대체 이건 뭘까요?✅ ARN이란 무엇인가요?ARN (Amazon Resource Name)은AWS 리소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표준 이름 체계입니다.쉽게 말하면,"AWS에서 무언가를 정확하게 가리키는 주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RN 구조 (형식)ARN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요:arn:partition:service:region:account-id:resource예시:arn:aws:s3:::my-bucketarn:aws:iam::123456789012:user/johnarn:aws:lambda:us-east-1:123456789012:function:MyFunction구..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Notepad++ 날짜 및 시간 입력 단축키 (최신 버전 기준)

Notepad++에서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현재 날짜와 시간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과거에는 F5 키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었지만, 최신 버전에서는 이 단축키가 기본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최신 Notepad++ 기준으로 날짜와 시간을 입력하는 방법, 단축키 설정 방법, 그리고 사용자 지정 형식 입력 방법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Notepad++에서 날짜/시간 입력하는 방법1. 메뉴에서 직접 삽입최신 Notepad++에서는 다음 경로를 통해 날짜와 시간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메뉴 > Edit > Insert > Date Time (short) 또는 Date Time (long)Short Format: 2025-04-03 14:30Long Format: Thursd..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OSError: [Errno 3] No such process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Linux & Python)

리눅스나 파이썬 환경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간혹 이런 오류를 마주하게 됩니다:OSError: [Errno 3] No such process이 오류는 단순히 “프로세스가 없다”는 뜻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스템 자원 접근, 프로세스 관리, 권한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이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와, 실제 사용하는 명령어 또는 코드 상황에 따른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OSError: [Errno 3] No such process란?이 오류는 리눅스나 Python에서 특정 프로세스를 참조하거나 조작하려고 했는데, 해당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에러 메시지 의미:항목설명OSError시스템 수준의 에러Errno 3표준 에러 번호 3 → No such process ..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Kafka Burrow란? Kafka 컨슈머 그룹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핵심 도구

Apache Kafka는 대규모 메시징 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죠.하지만 Kafka 클러스터를 운영할 때 가장 골치 아픈 부분 중 하나는 바로…“컨슈머 그룹이 데이터를 잘 소비하고 있는지?”“어디서 지연(Lag)이 생기는지?”이걸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알림까지 줄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가 바로 Kafka Burrow입니다.✅ Kafka Burrow란?Kafka Burrow는 LinkedIn에서 개발한 Kafka 컨슈머 그룹 지연(Lag) 모니터링 도구입니다.단순히 메시지 큐에서 얼마나 소비되지 않고 쌓여 있는지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컨슈머의 상태 평가(Status Evaluation)까지 자동으로 해줍니다.🎯 Burrow가 필요한 이유?Kafka는 기본적으로 Lag(지연)을..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 options ndots:5란? 리눅스 DNS 검색 동작에 숨겨진 비밀

Linux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질의 방식은 단순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resolv.conf에 있는 옵션 하나에 따라 성능이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그중에서도 자주 보이는 options ndots:5는DNS 해석 시 어떤 순서로 도메인을 찾을지를 결정하는 핵심 옵션입니다.✅ ndots란 무엇인가요?ndots는 "Name with DOTS"의 줄임말로,도메인 이름에 몇 개의 점(.)이 포함되어 있어야 "완전한 도메인"으로 인식할지를 정의합니다.문법:options ndots:NN은 정수이며 기본값은 1도메인에 .(점)이 N개 이상 있으면 FQDN (완전한 도메인 이름)으로 간주🔍 예를 들어볼게요ndots:5일 때,DNS 클라이언트가 "test.service"라는 도메..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