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VM 이중화란? Active-Active와 Active-Standby 구성 완전정복

idea9329 2025. 6. 11. 10:12
반응형

VM 이중화란? Active-Active와 Active-Standby 구성 완전정복

VM(가상 머신) 이중화는 서버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전략입니다. 기업 시스템에서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입니다.


✅ VM 이중화 방식 2가지

1. Active-Standby 구성

  • 설명: 하나의 VM이 서비스하고, 다른 하나는 대기 상태입니다.
  • 장점: 비용 효율적, 장애 시 빠른 전환
  • 활용 예시: 내부 업무 시스템, 비정기적 요청 처리 시스템

2. Active-Active 구성

  • 설명: 두 VM이 동시에 운영되어 부하를 나눕니다.
  • 장점: 높은 처리 성능, 자동 확장 가능
  • 활용 예시: 웹서비스, 트래픽이 많은 앱

✅ 필수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로드밸런서 사용자 요청을 여러 VM으로 분산
헬스체크 시스템 VM 상태 주기적 감지, Failover 트리거
공유 스토리지 VM 간 동일 데이터 접근을 위한 저장소 (EFS, NFS 등)
Failover 솔루션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대체 VM으로 전환

✅ 클라우드별 VM 이중화 구성법

🟨 AWS

  • EC2 + ELB + EFS
  • Auto Scaling + Multi-AZ 구성으로 HA 보장

🟦 Azure

  • Availability Set or Zone 구성
  • Azure Load Balancer + Azure Files

🟥 GCP

  • Instance Group + Load Balancer
  • Cloud Filestore로 공유 스토리지 구성

🟩 VMware

  • vSphere HA + vMotion + DRS
  • 공유 스토리지 기반으로 VM 자동 재시작

✅ 구현 예시 (Linux 환경)

- Active VM: nginx + app + mount NFS
- Standby VM: nginx + app + mount NFS
- 가상 IP 관리: keepalived 사용
  • 장애 발생 시 가상 IP가 Standby로 자동 이전됨
  • 서비스는 끊김 없이 계속 유지됨

🔐 VM 이중화 시 주의사항

  • DB도 이중화 필요 (예: MySQL Replication, RDS)
  • 보안 설정과 인증서도 이중화 대상에 포함
  • 로그 수집과 모니터링도 자동전환에 대비해 구성해야 함

✅ 결론

VM 이중화는 단순히 서버 2대를 두는 것을 넘어 자동 복구, 데이터 무결성, 사용자 무중단 경험까지 고려해야 하는 전략입니다. 클라우드별 서비스나 on-premise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