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Blue-Green 배포란?

idea9329 2025. 3. 6. 10:12
반응형

 

Blue-Green 배포는 배포 전략 중 하나로, 현재 운영 중인 환경(Blue)과 새롭게 배포할 환경(Green)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중단 없이 배포를 진행하고, 빠르게 롤백할 수 있습니다.


✅ Blue-Green 배포 방식

  1. 현재 운영 중인 버전(Blue) 새로운 버전(Green) 별도의 환경에 배포
  2. Green 환경에서 테스트 진행 (실제 트래픽을 받기 전)
  3. 문제가 없으면 트래픽을 Blue → Green으로 전환
  4. 새로운 Green이 정상 작동하면 기존 Blue 환경을 삭제하거나 대기 상태로 유지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롤백 가능)

✅ Blue-Green 배포와 다른 배포 전략과의 차이점

배포 전략개요장점단점

Blue-Green 배포 두 개의 환경을 유지하며 트래픽을 전환 다운타임 없음, 빠른 롤백 비용 증가, 환경 관리 부담
Canary 배포 일부 사용자만 새로운 버전 사용 후 점진적 확장 위험 분산, 성능 검증 가능 배포 속도 느림
Rolling 배포 기존 인스턴스를 점진적으로 새로운 버전으로 교체 리소스 효율적 사용 롤백이 다소 어려움
A/B 테스트 배포 특정 사용자 그룹에 새로운 기능 제공 후 비교 사용자 피드백 반영 가능 트래픽 분배 설정 필요

✅ Blue-Green 배포의 장단점

🔹 장점

 무중단 배포 가능 – 기존 환경(Blue)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버전(Green) 배포
 빠른 롤백 가능 – 문제가 발생하면 트래픽을 다시 Blue 환경으로 전환
 테스트 환경 활용 – Green 환경에서 충분한 테스트 후 전환 가능

🔹 단점

 비용 증가 – 두 개의 환경(Blue/Green)을 운영해야 하므로 인프라 비용 증가
 데이터 동기화 문제 – 데이터베이스 변경 시 롤백이 어려울 수 있음
 환경 관리 부담 – Blue와 Green 환경을 동시에 유지해야 하므로 관리 필요


✅ Blue-Green 배포가 적합한 경우

 무중단 서비스가 중요한 경우 – 금융, 이커머스,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빠른 롤백이 필요한 경우 – 실시간 서비스, 트래픽이 높은 서비스
 테스트 환경을 별도로 운영할 수 있는 경우

🚀 결론

Blue-Green 배포는 서비스 중단 없이 새로운 버전을 배포할 수 있는 강력한 전략이지만, 비용과 환경 관리 부담이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무중단 배포가 중요한 시스템이라면 적극적으로 고려할 만한 방법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