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B 위에 Virtual IP(VIP)가 설정된 경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방식은 LB의 설정 및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라 달라집니다.
✔️ 1.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경우
✅ DNS 기반 VIP 라우팅
✅ VIP(Floating IP)와 도메인이 매핑되어 있는 경우
설정 방식:
- LB에 VIP가 설정되고, VIP를 특정 도메인과 연결 (예: vip.example.com → 192.168.1.100)
- 클라이언트는 도메인(vip.example.com)을 통해 접속
- DNS가 VIP IP를 반환하며, 클라이언트는 VIP IP로 접근하게 됨
예제:
nslookup vip.example.com
# 결과:
# Name: vip.example.com
# Address: 192.168.1.100 (VIP)
✅ DNS에서 VIP를 반환하면, 도메인을 통한 접근이 가능
✅ VIP를 직접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
✔️ 2. VIP 아이피로 직접 접속하는 경우
✅ VIP IP가 알려져 있는 경우
✅ DNS 없이 직접 IP로 접속 가능한 경우
설정 방식:
- 클라이언트가 VIP를 직접 입력하여 접속 (예: 192.168.1.100)
- LB가 해당 VIP를 통해 백엔드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
예제:
curl http://192.168.1.100
✅ 도메인 없이 VIP만으로도 접근 가능
✅ LB가 VIP를 통해 트래픽을 백엔드로 전달
✔️ 3. 둘 다 되는 경우
✅ 도메인과 VIP 모두 사용 가능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설정 방식:
- DNS에서 VIP를 반환하면서도, VIP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
- 클라이언트는 도메인(vip.example.com) 또는 VIP(192.168.1.100)을 입력해 접속 가능
예제:
nslookup vip.example.com # 도메인을 통한 VIP 확인
curl http://vip.example.com # 도메인 사용
curl http://192.168.1.100 # VIP 직접 사용
✅ DNS를 통해 VIP가 반환되므로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
✅ VIP 자체도 유효한 IP이므로 직접 접근 가능
🔥 결론: 어떤 방식으로 접속해야 할까?
접속 방식설명장점단점
도메인 사용 (vip.example.com) | DNS에서 VIP를 반환 | 도메인 변경 시 IP 변경 불필요 | DNS 장애 시 접근 불가 |
VIP 직접 사용 (192.168.1.100) | 클라이언트가 VIP 입력 | DNS 없이 빠른 접근 가능 | VIP 변경 시 설정 변경 필요 |
둘 다 사용 | DNS + VIP 직접 입력 가능 | 유연한 접근 방식 제공 | 설정이 잘못되면 혼동 가능 |
✅ 추천 방식:
- 일반적으로 도메인 기반 접근이 권장됨 (vip.example.com)
- VIP 직접 입력도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장애 대응이 용이
- DNS 장애 시에도 VIP로 직접 접근 가능하도록 백업 방법을 고려
👉 결론적으로 "둘 다 가능하지만, 도메인 기반 접근이 기본이며, VIP 직접 접근은 보조적 역할을 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