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의:
Preserved IP(프리저브드 IP)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특정 IP 주소가 일정한 기간 동안 또는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 주요 특징:
✅ IP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됨
✅ 재부팅, 장애 발생 후에도 동일한 IP 유지 가능
✅ 주로 클라우드 환경(AWS, Azure, GCP)에서 사용됨
✅ 1️⃣ Preserved IP의 사용 사례
사용 사례설명
DNS 및 도메인 고정 | 웹사이트, API 서버가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같은 IP를 유지해야 함 |
Firewall 규칙 적용 | 특정 IP를 허용/차단하는 방화벽 규칙을 유지해야 함 |
클러스터링 & 로드 밸런서 | 고정된 백엔드 IP를 사용하여 부하 분산 |
VPN 및 네트워크 보안 | 특정 IP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
✅ 2️⃣ Preserved IP vs. Dynamic IP 차이점
비교 항목Preserved IP (고정 IP)Dynamic IP (동적 IP)
IP 유지 여부 | 일정 기간 또는 영구 유지 | 네트워크 재시작 시 변경됨 |
사용 환경 | 서버, API, 방화벽 설정 필요 | 일반 사용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
비용 | 고정 IP 사용 시 추가 비용 발생 가능 | 대부분 무료 |
예시 | AWS Elastic IP, Azure Static IP | 일반 DHCP IP, 공용 Wi-Fi IP |
✅ 3️⃣ 클라우드 환경에서 Preserved IP 사용
📌 AWS (Elastic IP)
-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가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
- 기본 퍼블릭 IP는 인스턴스 재시작 시 변경됨
- Elastic IP는 재부팅해도 유지됨
✅ Elastic IP 할당 명령어
aws ec2 allocate-address --domain vpc
✅ EC2 인스턴스에 Elastic IP 연결
aws ec2 associate-address --instance-id i-1234567890abcdef0 --allocation-id eipalloc-abcdef1234567890
📌 Azure (Static Public IP)
- Azure VM의 기본 퍼블릭 IP는 재부팅 시 변경됨
- Static Public IP를 할당하면 유지됨
✅ Azure CLI에서 Static IP 할당
az network public-ip create --resource-group MyResourceGroup --name MyStaticIP --allocation-method Static
📌 GCP (Reserved Static IP)
- GCP VM의 외부 IP를 고정하려면 Static IP를 예약해야 함
✅ Static IP 할당
gcloud compute addresses create my-static-ip --region=us-central1
✅ 4️⃣ Preserved IP 확인 방법
📌 현재 사용 중인 IP 확인 (Linux)
ip a | grep inet
또는
curl ifconfig.me
📌 AWS에서 Elastic IP 확인
aws ec2 describe-addresses
📌 Azure에서 Static Public IP 확인
az network public-ip list --output table
🚀 최종 정리
✅ Preserved IP는 변경되지 않는 고정 IP
✅ 클라우드(AWS, Azure, GCP)에서 Elastic IP, Static IP로 사용 가능
✅ 방화벽, 로드 밸런싱, 보안 정책 등에 활용
✅ 일반 DHCP IP(동적 IP)와 다르게 지속적으로 유지됨
🚀 이제 Preserved IP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안정성을 확보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