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6 57

EKS에서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란?

AWS EKS 환경에서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는 Kubernetes 리소스로, 파드(Pod) 개수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여주는 기능이야. 서비스에 트래픽이 급증하거나 감소할 때 CPU, 메모리, 혹은 사용자 정의 메트릭 기준으로 파드 수를 자동으로 조절해 서비스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HPA 주요 특징자동 스케일링: 설정한 메트릭에 따라 파드 개수를 동적으로 조절부하 대응: 서비스 부하가 급증해도 자동으로 파드를 추가해 트래픽 분산비용 절감: 트래픽이 줄어들면 파드를 줄여 불필요한 비용 방지EKS 호환: Kubernetes 표준 리소스라 EKS에서도 그대로 사용 가능✅ HPA 주요 설정 요소minReplicas: 최소 파드 개수maxRep..

카테고리 없음 2025.06.28

Azure에서 Scale Up이란? 개념과 올바른 사용법

Azure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Scale Up은 서버나 서비스의 스펙(리소스 용량)을 증가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VM(가상 머신)의 CPU나 메모리 크기를 키우는 것이 대표적인 Scale Up입니다.Scale Up: 사양을 수직적으로 확장 (스펙 업그레이드)Scale Out: 인스턴스 개수를 수평적으로 확장 (서버 수 증가)✅ 표기법기술 문서, 설명: Scale Up (띄어쓰기 형태 사용 권장)코드/메서드명: ScaleUp 처럼 붙여 쓰기도 함 (예: vm.ScaleUp())✅ 언제 사용하나요?트래픽 증가로 기존 VM의 리소스가 부족할 때긴급하게 성능을 올려야 할 때 (Scale Out은 시간이 걸리지만, Scale Up은 즉시 효과적)✅ 예제 문장“서비스 지연이 발생해 VM을 Scal..

카테고리 없음 2025.06.27

Grafana API Key 생성 방법: 외부 시스템 연동을 위한 완벽 가이드

Grafana API Key는 외부 애플리케이션이나 스크립트가 Grafana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인증하는 수단입니다. 이 글에서는 Grafana API Key를 생성하는 단계별 방법을 쉽게 설명합니다.🔧 Grafana API Key란?Grafana API Key는 사용자 계정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토큰 방식 인증 수단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외부 모니터링/자동화 도구와 연동REST API를 이용한 대시보드 생성, 수정사용자, 조직 정보 관리 자동화📌 Grafana API Key 생성 절차1. Grafana에 로그인Grafana 인스턴스에 관리자(admin) 권한으로 로그인합니다.http://:30002. 사이드바에서 설정 메뉴 진입왼쪽 메뉴바에서:⚙️ Configuration 클릭..

카테고리 없음 2025.06.27

💼 "Perks" 뜻과 예시: 직장과 일상에서 꼭 알아야 할 혜택 용어

📌 "Perks"란 무엇인가요?**Perks(퍼크스)**는 영어 단어 Perquisites의 줄임말로,급여 외에 제공되는 특별한 혜택을 의미합니다.직장에서 흔히 사용되며, 기업이 직원에게 제공하는 복지나 보너스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erks의 일반적인 뜻구분의미일반 영어부가 혜택, 보너스, 특전직장 문화복지 혜택 (예: 헬스장, 점심 제공)카드/멤버십포인트, 마일리지, 할인 등🎯 Perks 예시 상황직장 내 Perks자유로운 출퇴근제재택근무 옵션사내 피트니스 센터해외 워크샵 참여 기회신용카드 Perks항공 마일리지 적립무료 공항 라운지 이용전용 쇼핑 할인앱 서비스 Perks광고 제거프리미엄 콘텐츠 이용빠른 고객 응대🗣️ 예문으로 이해하기What are the perks of workin..

카테고리 없음 2025.06.26

✅ Scrum이란? 팀워크를 극대화하는 애자일 개발 방법

**Scrum(스크럼)**은 변화가 빠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일하기 위한 애자일(Agile) 방식 중 하나입니다.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 팀에서 사용되며, 짧은 반복 작업과 팀 협업을 통해 유연하게 프로젝트를 완성해가는 프레임워크입니다.🔍 Scrum의 핵심 개념용어설명스프린트(Sprint)1~4주 단위의 작업 주기. 기능을 작게 나눠 반복 개발스크럼 팀(Scrum Team)제품 책임자(PO), 스크럼 마스터(SM), 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소규모 팀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매일 15분 이내의 짧은 회의. 진행 상황과 문제 공유백로그(Backlog)해야 할 작업 목록.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됨회고(Retrospective)스프린트가 끝난 후 잘한 점과 개선점을 정리하는 시간🧩 왜 Scrum을 써야..

카테고리 없음 2025.06.26

💾 Thick Provisioning vs Thin Provisioning: 스토리지 할당 방식 차이 완벽 정리

Thick Provisioning과 Thin Provisioning은 스토리지를 할당하는 방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클라우드, 가상화 환경, SAN/NAS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성능과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Thick Provisioning이란?미리 전체 공간을 고정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설명: 디스크를 생성할 때 설정한 전체 용량을 즉시 물리적으로 할당예시: 100GB를 할당하면, 바로 100GB를 실제 디스크에서 차지함장점:예측 가능한 성능디스크 공간 부족 위험이 낮음단점:사용하지 않아도 공간을 낭비함스토리지 낭비 발생 가능성✅ Thin Provisioning이란?실제 사용하는 데이터만큼만 공간을 점진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설명: 설정된 용량은 논리적이고, 실제 쓰는 만큼만 물리적으..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토글(Toggle)이란? | UI/UX 용어 쉽게 이해하기

웹사이트나 앱을 사용하다 보면 "토글 버튼"이라는 말을 자주 보게 됩니다.그렇다면 **토글(toggle)**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토글의 뜻**토글(Toggle)**은 두 가지 상태 사이를 전환하는 버튼 또는 스위치를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기능을 켜거나 끄는 동작을 나타내며, ON/OFF처럼 두 가지 상태를 왔다 갔다 하는 UI 요소입니다.✅ 토글 버튼의 대표적인 예기능ON 상태OFF 상태다크모드 토글어두운 테마 적용밝은 테마 유지자동저장 토글문서 자동 저장수동 저장만 가능알림 수신 토글알림 받을 수 있음알림 차단자동 포인트 적립결제 시 포인트 자동 적립포인트 수동 적립 또는 미적립🖱️ 토글은 이렇게 생겼어요토글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형식이나 체크 스위치처럼 표현됩니다.✅ ON 상태: 초록색, 파..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 AWS Inspector란? 클라우드 보안 취약점 진단의 핵심 도구!

AWS Inspector는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제공하는 자동화된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입니다.EC2 인스턴스와 컨테이너 이미지(ECR)에 존재할 수 있는 취약점을 탐지하고 평가함으로써기업의 클라우드 보안 수준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AWS Inspector의 핵심 기능기능설명취약점 스캐닝EC2 및 ECR 이미지에서 알려진 CVE 취약점을 탐지자동화된 보안 검사리소스 변경 시 자동 진단 수행 (Agentless 가능)심각도 기반 리포트CVSS 점수 기준으로 위험도 분류 (Critical, High 등)통합 보안 서비스 연동AWS Security Hub, EventBridge와 연동 가능DevSecOps 연계CI/CD 파이프라인에 보안 진단 자동화 적용 가능💡 AW..

카테고리 없음 2025.06.20

DDoS란?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원리와 방어 방법

✅ DDoS 공격이란?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란, 여러 대의 컴퓨터(좀비 PC)를 이용해 하나의 서버나 웹사이트에 동시에 대량의 요청을 보내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입니다. 공격 대상은 웹사이트, 온라인 게임 서버, 금융 시스템 등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 DDoS 공격 원리좀비 PC 확보: 공격자는 악성코드를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켜 ‘봇넷(botnet)’을 구성합니다.동시 공격 명령: 이 감염된 컴퓨터들이 특정 대상 서버에 트래픽을 집중시켜 과부하를 일으킵니다.서비스 중단: 서버가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의 요청을 받아 결국 멈추거나 느려집니다.🔥 대표적인 DDoS 공격 유형유형설명SYN FloodTCP 연결 요청..

카테고리 없음 2025.06.19

OpenNMS란 무엇인가요? 네트워크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최고의 오픈소스 솔루션

**OpenNMS(Open Network Management System)**는 기업과 기관이 네트워크 장비,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강력한 오픈소스 네트워크 관리 도구입니다. SNMP, HTTP, ICM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활용해 수천 대의 장비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IT 인프라 운영의 핵심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OpenNMS의 주요 특징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시Ping, SNMP, HTTP 등을 활용해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지능형 장애 감지 및 알림문제가 발생하면 이메일, SMS, Slack 등으로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자동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네트워크 상의 장비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등록합니다.성능 수집 및 시각..

카테고리 없음 2025.06.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