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 104

📌 RPO vs. RTO: 차이점과 개념 정리

RPO (Recovery Point Objective)와 RTO (Recovery Time Objective)는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DR) 및 비즈니스 연속성(BCP) 전략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이 두 개념은 서비스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과 복구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 1️⃣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복구 지점 목표💡 RPO란?✅ 데이터 복구 시 허용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손실량✅ 서비스 장애 발생 시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잃어도 되는지를 정의📌 즉, 장애가 발생했을 때 마지막으로 복원 가능한 데이터 시점을 의미📌 데이터 백업 빈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 RPO 예시RPO = 24시간 → 하루에 한 번 백업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Azure waagent (WALinuxAgent)란?

🔹 waagent란?waagent는 Microsoft Azure Linux Agent(WALinuxAgent)의 실행 파일입니다.Azure에서 Linux 가상 머신(VM)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VM과 Azure 플랫폼 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주요 기능:✅ Azure VM의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및 초기 설정✅ VM 디스크 크기 조정 및 관리✅ SSH 키 및 사용자 계정 관리✅ VM 메타데이터 가져오기✅ Azure Extension(확장 기능) 관리✅ VM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IP 주소 관리🔹 waagent의 주요 역할Azure 환경에서 Linux VM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1️⃣ VM 프로비저닝 (Provisioning)VM이 처음 배포될 ..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 Partial Replication(부분 복제) in DB

✅ Partial Replication(부분 복제)란?Partial Replication(부분 복제)은 데이터베이스(DB)에서 특정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복제하는 방식입니다.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는 Full Replication(전체 복제)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필요한 데이터만 복제하여 성능 최적화와 저장 공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Partial Replication의 종류부분 복제는 복제 범위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뉩니다.1️⃣ 테이블 단위 복제 (Table-Level Replication)특정 테이블만 선택적으로 복제예: 사용자 정보(user_table)는 복제하지만, 로그 데이터(log_table)는 복제하지 않음사용 예시: 고객 정보는 모든 지점에 유지하지만, 지역별 트랜잭션 데이터는 해당 ..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NC(Netcat) 사용법 완벽 가이드 🔥

Netcat(NC)은 네트워크 도구로, TCP/UDP 연결을 열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포트를 검사하는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Netcat은 "네트워크의 스위스 군용 칼"이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하며, 해킹 및 보안 테스트, 서버 간 데이터 전송, 포트 포워딩 등에 사용됩니다.📌 Netcat 설치 방법대부분의 Linux 및 macOS에는 기본적으로 Netcat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indows 사용자는 ncat (Nmap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nux/Mac 설치 (netcat 포함)sudo apt install netcat # Ubuntu/Debiansudo yum install nc # CentOS/RHELbrew install netcat ..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GCP Superset: Google Cloud에서 Apache Superset 활용하기

GCP Superset은 Google Cloud Platform(GCP)에서 Apache Superset을 실행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Apache Superset은 오픈 소스 BI(Business Intelligence) 도구로, 강력한 데이터 시각화와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이 글에서는 GCP에서 Apache Superset을 배포하는 방법과 BigQuery, Cloud SQL과의 연동, 최적화 팁을 정리했습니다.📌 Apache Superset이란?Apache Superset은 데이터 탐색 및 시각화 플랫폼으로, SQL 기반 분석과 대시보드 기능을 제공합니다.오픈 소스 BI 도구로 무료 사용 가능SQL Lab 기능으로 데이터 분석 지원대시보드를 생성하여 시각화 가능BigQuery, Clou..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 Card Enroll / Re-Enroll 의미

✅ 1. Card Enroll (카드 등록)"Enroll"은 "등록하다, 가입하다"라는 뜻입니다.Card Enroll은 카드를 처음으로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보통 은행, 결제 시스템, 멤버십,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신용카드/직불카드 등록 → 새로운 결제 카드 등록✅ 모바일 결제 서비스 등록 → Apple Pay, Google Pay 등에 카드 추가✅ 출입카드 등록 → 회사나 학교의 출입 시스템에 카드 등록✅ 2. Card Re-Enroll (카드 재등록)"Re-Enroll"은 "다시 등록하다, 재가입하다"라는 의미입니다.Card Re-Enroll은 이미 등록된 카드를 다시 등록하는 과정을 뜻합니다.보통 카드 정보 변경, 시스템 재설정, 유효기간 갱신 등의 이유로 필요합니..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란?

✅ SRE 개념 정리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원칙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하는 접근 방식입니다.즉, 개발(Dev)과 운영(Ops) 간의 균형을 맞추는 엔지니어링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SRE의 핵심 목표:✅ 서비스의 가용성(Availability) 보장✅ 장애 자동화 및 운영 비용 최소화✅ 개발팀과 운영팀 간 협업 강화✅ 효율적인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SRE와 DevOps 차이점SRE는 DevOps의 실용적 구현 방식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구분SRE (Site Reliability Engineering)DevOps (Development + Operations)목표서비스 안정성 및 운영 자동화개발과 운영의 통합..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GCP(Google Cloud Platform) 비용 확인 방법 (2025년 최신 가이드)

GCP에서 사용한 리소스의 비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GCP 콘솔을 이용하는 방법과 Billing API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GCP 콘솔에서 현재 사용량 및 예상 청구 비용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GCP 콘솔에서 비용 확인하는 방법GCP 콘솔에서는 사용량 및 예상 청구 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GCP 콘솔에서 현재 비용 확인GCP 콘솔에 로그인좌측 메뉴에서 "Billing(결제)" 선택"개요(Overview)" 페이지에서 현재 비용 및 예상 비용 확인서비스별 상세 비용 확인"Reports(보고서)" 메뉴 클릭날짜 범위 선택 (이번 달, 지난 달, 사용자 지정 기간)서비스별, 프로젝트별, SKU별 비용 분석 가능📌 예제 화면GCP 결제 대시보드에서 현재..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2025년 기준: Azure VM 생성 시 IMDSv2 설정이 필요한가?

Azure에서 가상 머신(Azure VM)을 생성할 때, IMDSv2(AWS EC2에서 사용되는 버전)와 같은 버전 구분이 필요한가?이 글에서는 Azure의 인스턴스 메타데이터 서비스(IMDS) 설정과 IMDSv2와의 차이점을 정리합니다.🔹 Azure VM의 IMDS(인스턴스 메타데이터 서비스)란?Azure의 인스턴스 메타데이터 서비스(IMDS)는 가상 머신(VM)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RESTful API 서비스입니다.VM 내부에서 169.254.169.254 IP 주소를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IMDS 주요 기능:✅ VM SKU(사양) 정보 조회✅ VM의 네트워크, 디스크, 지역 정보 확인✅ Azure 유지보수 이벤트 및 상태 정보 제공✅ Azure..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 nmcli 사용법 완벽 정리

nmcli는 NetworkManager를 명령줄에서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도구입니다.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Wi-Fi, 유선 네트워크, IP 설정, DNS 관리 등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1. 네트워크 상태 확인nmcli general status # 전체 네트워크 상태 확인출력 예시:STATE CONNECTIVITY WIFI-HW WIFI WWAN-HW WWAN connected full enabled enabled enabled enabled nmcli connection show # 현재 활성화된 네트워크 연결 목록출력 예시:NAME UUID TYPE DE..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반응형